본문 바로가기

일상꿀팁51

연말정산 인적공제 부양가족 기준, 소득, 금액 직장인에게 연말정산은 제 3의 월급으로 불리는데요. 오늘은 연말정산 항목중에 인적공제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부양가족? 부양가족의 기준은 주민등록표에 동거가족으로서 해당 거주지의 주소 등에서 현실적으로 생계를 같이하는 사람을 의미합니다.(직계존속, 직계비속(입양자), 형제자매, 수급자, 위탁아동) 다만, 취학, 질병의 요양 근무상 또는 사업상의 형편 등으로 본래의 주소 또는 거소에서 일시 퇴거한 경우나, 직계존속이 주거 형편에 따라 별거하고 있는 경우에는 생계를 같이 하는 것으로 보고 직계비속, 입양자의 경우에는 생계를 같이 하는지 여부를 불문하고 부양가족에 해당됩니다. 인적공제 기본공제 본인, 배우자, 부양가족(1명당 연 150만원 공제) 추가공제 경로우대(100만원), 장애인(200만원), 부녀자(5.. 2023. 3. 2.
종합소득세 세율, 신고방법 종합소득세란? 종합소득세는 과세기간동안에 발생한 소득에 대해서 부과되는 세금으로 이자, 배당, 사업, 근로, 연금, 기타소득이 포함됩니다. 자영업자, 개인사업자, 프리랜서, 월급 이외의 소득이 발생하는 직장인은 1월 1일부터 12월 31일(과세기간)에 소득이 발생하였다면 다음해 5월 1일부터 5월 31일까지 종합소득세 신고,납부를 진행하셔야합니다. 해당기간에 신고를 하지 못한 경우에는 가산세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종합소득세 확정신고 제외 대상 -근로소득만 발생한 근로자로 연말정산을 진행한 경우 -직전 과세기간 수입금액이 7,500만원 미만이며 다른소득이 없는 방문판매원 또는 계약배달 판매원의 사업소득으로 소속회사에서 연말정산을 진행한 경우 -퇴직소득과 연말정산대상 사업소득만 있는 경우 -비과세 또는 분.. 2023. 2. 22.
공무원 연금, 조건, 수령나이, 조기수령 공무원 연금이란? 공무원 연금은 공무원 및 그 유족을 위한 종합 사회 보장 제도로써 퇴직 또는 사망과 공무로 인한 부상 등에 대해 적절한 급여를 진행하면서 본인 및 유족의 생활 안정과 복리향상에 기여함을 목적으로 하고 있는 공적 제도입니다. 공무원 연금의 종류로는 퇴직 수당, 유족 급여, 장해 급여, 재해 보상 및 부조 급여 등이 있습니다. 공무원 연금 조건 공무원이라고 해서 무조건 연금을 수령할 수 있는 것은 아닙니다. 공무원연금을 수령나이에 정상적으로 수령하기 위해서는 10년 이상을 공무원으로 근무해야합니다. 재직 기간이 10년이 되지 않은 경우라면 퇴직할 때 퇴직 수당으로 지급받을 수 있습니다. 공무원 연금 수령 나이 1996년 1월 1일 이후에 임용이 되어 재직 기간이 10년 이상이며 2022~2.. 2023. 2. 21.
자동차 과태료와 범칙금 차이 확인 방법 과태료 란? 과태료는 교통법규를 위반하였을 때 경찰이 아닌 무인단속 카메라 등을 통해서 적발되는 것을 의미합니다. 운전자와 대면하는 상태에서 과태료가 부과되는 것이 아닌 차량번호를 통해 등록된 소유자에게 부과되는 것입니다. 실제로 다른 사람이 운전을 하였어도 과태료는 소유자에게 부과됩니다. 과태료의 대표적인 예로는 속도위반과 불법 주정차 위반이 있습니다. 초과속도 과태료 범칙금 20Km/h 이내 4만원 3만원 20~40Km/h 이내 7만원 6만원 40~60Km/h 이내 10만원 9만원 60Km/h 초과 13만원 12만원 5대 불법 주정차 금지 구역 소방시설 인근 5M 이내 8~9만원 교차로 주변 5M 이내 4~5만원 버스정류장 인근 10M 이내 4~5만원 횡단보도 위 또는 정지선을 침범한 경우 4~5만원.. 2023. 2. 16.
728x90